본문 바로가기

테스트2

[Ethereum] Remix 대신 Hardhat 사용해 보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발할 때, 많은 사람들이 처음 접하게 되는 툴이 바로 Remix 입니다. [Ethereum] Remix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하기Remix 만약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대해서도 잘 알지도 못하는데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해서 배포해야 하는 상황이 왔다면 적잖이 당황할 것입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인터넷에서 자료를 검색하ts01.tistory.com웹 기반 IDE로써, 별도의 설치 없이 브라우저에서 바로 Solidity 코드를 작성하고 배포할 수 있어 진입 장벽이 낮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조금 커지고, 다음과 같은 필요성들이 생기면 고민이 생깁니다:배포를 반복하다보니 자동화하고 싶다.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싶다.가스비, 디버깅, 모듈화 등을 정교하게 다루고 싶다.로컬에서 전체 개.. 2025. 4. 8.
[초보자의 눈으로 보는 NestJS] 5. 유저 서비스의 구현 5. 유저 서비스의 구현 요약 이전 글에서는 [초보자의 눈으로 보는 NestJS] 4. 유저 서비스의 구현과 의존성 주입 4. 유저 서비스의 구현과 의존성 주입 본 글에서는 유저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예시 구현합니다. 모듈-컨트롤러-프로바이더 간의 관계를 예시 코드로 구현하고, 다른 모듈 또는 서비스를 ts01.tistory.com 유저의 모듈/컨트롤러/프로바이더 파일을 생성하고, 각 코드 간 연관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의존성 주입 (DI : Dependency Injection) 기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그것이 사용될 수 있는 예시를 설명하였습니다. 본 글에서는 유저 배열을 기반으로 유저 데이터를 관리하는 CRUD 기능을 구현합니다. 구현에서는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지 않습니다. Nes.. 2024.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