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28

가비아 & letsencrypt & Nginx 로 개인서버에 도메인 붙여보기 개요최근에 구하게 된 PC를 개인서버로 만들어서 이것저것 개발하다보니, 도메인을 붙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원래 AWS를 이용해서는,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SSL을 먹이기 위해서 ACM 인증서를 설정해서, 운용하는 EC2에 붙인 ALB에 싹 설정하는 방법만 알고 있었다.그런데 이번 기회에 직접 붙여보는 것이 해보고 싶어 직접 시도해 보았다.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고letsencrypt 로 SSL 인증서를 다운로드하고Nginx 로 서버에 SSL 인증서를 적용 및 프록시까지 설정한내역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letsencrypt 와 Nginx 는 Ubuntu 서버 내에서 진행하였다. 1.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여기저기서 저렴한 도메인, SSL 가격을 알아보았지만, 얼추 계산했을 때 최.. 2025. 1. 7.
Ubuntu 부팅 USB 만들기 # 서론서버용으로 쓰기에 적합한 PC를 한 대 구했다.원래 우분투가 깔려있던 PC였지만, 18.04 버전으로 되어 있어 나의 개발환경과 너무 충돌이 많았다.업데이트하느라 여러 가지 명령어를 치다가, Network Pipe가 Broken 되더니,결국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렸다.그리하여 우분투를 최신버전으로 깔아주기 위해서 우분투 USB를 굽게 되었다.# 핵심이 글에서는 우분투 데스크톱을 설치하여 부팅 USB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MacOS(M1 Arm64)에서 진행하였으며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1. 우분투 데스크톱 다운로드2. 부팅 USB로 만들 USB 포맷3. Etcher 설치 (ISO 구워줄 프로그램)4. USB 굽기기본적으로 USB는 넉넉히 8 GB 이상으로 준비하면 된다.고 한다.# Ubu.. 2024. 12. 18.
[초보자의 눈으로 보는 NestJS] 6. DTO와 Validation 6. DTO와 Validation요약이전 글에서는 [초보자의 눈으로 보는 NestJS] 5. 유저 서비스의 구현5. 유저 서비스의 구현 요약 이전 글에서는 [초보자의 눈으로 보는 NestJS] 4. 유저 서비스의 구현과 의존성 주입 4. 유저 서비스의 구현과 의존성 주입 본 글에서는 유저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ts01.tistory.com유저 배열(Array)을 기반으로 유저 데이터를 관리하는 CRUD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코드 구현 및 동작을 테스트하기 위해 Postman을 활용하여 확인하였습니다.본 글에서는컨트롤러와 프로바이더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를 DTO(Data Transfer Object)로 정의합니다.DTO에 대한 데이터 검증(Data Validation)을 추가하여, 올바른 데이터만이 도달.. 2024. 5. 31.
class-validator 의 @IsBoolean 데코레이터와 enableImplicitConversion 설정된 Transform 의 문제 개요본 개요는 문제를 만나게 된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미 문제를 겪으신 분들은 생략하셔도 좋습니다. NestJS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설정(Configuration)들을 위해 `@nestjs/config` 패키지를 제공합니다. 환경변수 파일(대표적으로 .env 파일)에 기재된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s)들은 위 패키지가 제공하는 `ConfigModule` 로 주입되며 애플리케이션 곳곳에서 이용될 수 있게 됩니다.이 때, 파일에 기재되고 애플리케이션으로 불러온 환경변수가, 필수인데도 입력되지 않았거나 잘못된 포맷으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지 않는다면 애플리케이션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oi 와 같은 패키지가 공식 문서를 통해 추천되고 .. 2024. 2. 29.